시중에 보면 정만 많은 종류의 칫솔과 치약이 나와 있습니다. 어떤 칫솔과 치약이 좋은지 궁금합니다. 치아의 상태에 따라 사용해야 할 칫솔과 치약이 따로 있다면 알려주시구요. 아울러 올바른 칫솔질 방법도 알려주세요.

Răng hàm mặt

I-Medicare 12/04/2025
시중에 보면 정만 많은 종류의 칫솔과 치약이 나와 있습니다. 어떤 칫솔과 치약이 좋은지 궁금합니다. 치아의 상태에 따라 사용해야 할 칫솔과 치약이 따로 있다면 알려주시구요. 아울러 올바른 칫솔질 방법도 알려주세요.

답변됨

90년대 이후엔 수많은 칫솔과 치약이 제각각 기능의 우월성을 주장하는 광고를 하며 시판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치약이나 칫솔의 제품별 차이보다는 칫솔 및 치약을 얼마나 올바로 사용하는지가 훨씬 중요합니다.
칫솔 머리부분의 크기는 어금니 2~3개를 덮을 수 있어야 좋습니다. 따라서 성인용은 대개 3cm이하가 적당합니다. 솔은 부드러운 것보다는 어느 정도 힘이 있는 것이 프라그를 제거하는 데는 더 효과적입니다. 칫솔은 잘 보관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가장 중요한 점은 통풍과 건조가 잘되는 곳에 두어서 칫솔끼리 서로 부딪치지 않게 하는 것입니다. 오래 써서 닳거나 변형된 칫솔은 프라그 제거가 미흡할 뿐 아니라 잇몸손상도 초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통상 하루 3회씩 사용하는 칫솔이라면 3~4개월에 한 번씩 갈아줘야 합니다. 프라가 제대로 제거되지 않을 땐 치석으로 변합니다. 일단 치석이 생기면 칫솔질로 제거가 되지 않을 뿐 아니라 표면이 거칠어 많은 프라그가 침착되게 합니다.
최근에는 전동칫솔을 많이들 사용합니다. 하지만 전동칫솔은 치아를 닦는 동작을 적절히 조절하기 어려운 경우도 있는데다, 잇몸이 얇은 환자가 장기간 사용했을 때는 치아와 잇몸의 경계부위인 치아면에 홈이 파이거나 잇몸이 내려앉는 단점이 있습니다. 따라서 일반인이 아닌 장기입원 환자나 지체부자유자가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치약의 주성분 중엔 치아면을 매끄럽게 해주는 세마제가 있으므로 개개인의 치아상태에 따라 다르게 선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프라그나 치석 등이 빠르게 침착되거나 구강위생이 안 좋은 사람은 마모도가 높은 치약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다만 치주질환, 시린 이, 치아와 잇몸 간 경계부위인 치아면에 홈이 파이는 치경부마모증 환자 등은 마모도가 낮은 치약을 사용해야 합니다. 이도 저도 아닌 사람은 중간 정도의 마모성을 가진 치약이 좋습니다.

지금 예약하세요

귀하의 정보를 여기에 남겨 주시면 도와드리겠습니다.

귀하의 의견

지금 연락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