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 전에 충치를 치료하고 금으로 씌웠습니다. 그후로 치료받은 이가 시리고 음식을 씹을 때는 아프고 불편합니다. 입냄새도 나는 듯합니다. 무엇이 문제일까요?

Răng hàm mặt

I-Medicare 12/04/2025
얼마 전에 충치를 치료하고 금으로 씌웠습니다. 그후로 치료받은 이가 시리고 음식을 씹을 때는 아프고 불편합니다. 입냄새도 나는 듯합니다. 무엇이 문제일까요?

답변됨

충치란 단백질 성분과 같은 유기질이 파괴되는 현상입니다. 충치는 섭취하는 음식물의 당도가 높을수록, 끈끈한 정도가 심할수록 잘 생깁니다. 또 치아가 정상적으로 고르게 배열되지 않았다면 음식물이 더 잘 끼어 치아가 썩을 확률이 높습니다. 치아와 치아 사이에 생긴 충치는 주위의 치아로 빠르게 번지며 석어 없어진 공간으로 옆의 치아가 이동하여 치주병을 일으키거나 부정교합을 만들기도 합니다.
충치의 단계별 증상을 보면, 첫 번째 단계는 치아표면의 충치인데, 이는 거의 자각 증상이 없고 치아표면의 틈안에 생깁니다. 두 번째 단계는 신경에 가까운 상아질의 충치입니다. 충치가 신경에 가까운 곳으로 확대되면 찬 것과 단 것에 증상을 느끼게 됩니다. 이 단계에서 치료를 해주어야 충치가 신경에 이르지 않습니다. 세 번째 단계는 신경(치수)까지 침범한 충치로 신경이 충치에 감염되어 신경을 제거해야 합니다. 마지막 단계는 치아뿌리까지 진행된 충치를 말합니다. 이경우 뿌리 끝에 화농이나 치근막염이 생기게 되어 씹을 때마다 아프고, 치아 뿌리끝에 고름주머니가 생기기도 하며, 치료가 힘들 경우 치아를 뽑기도 합니다.
충치는 치료를 한다고 해서 원래대로 회복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이 부분을 대체해 주는 치료가 필요합니다. 여기에는 아말감, 복합레진, 금, 도재 등이 사용될 수 있습니다. 금은 범위가 넓은 층치 치료시 사용되므로 치료 후 약간 시린 증상이 있을 수 있습니다. 이것은 충치가 신경까지 미치진 않았으나 신경과 가까웠던 경우이므로 신경이 안정될 때까지의 일시적인 현상입니다. 시리거나 잠시 아프다는 생각이 들 대 칫솔질을 안 하거나 조심스럽게 하게 되는데, 이때 치아에 치태가 침착되어 잇몸에 염증을 일으키며, 아프고 입냄새가 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런 경우가 아니라면 치과에서 다시 검사를 받아보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치료를 받은 치아도 충치가 진행될 수 있으므로 치과 치료 후에는 올바른 칫솔질로 구강을 청결하게 하며 치과에 정기적으로 내원하여 치료받은 치아와 구강의 건강상태를 점검받으세요.

지금 예약하세요

귀하의 정보를 여기에 남겨 주시면 도와드리겠습니다.

귀하의 의견

지금 연락하세요!